본문 바로가기

여씨춘추 이번 글은 呂氏春秋 四曰誣徒편 해석입니다. 예과 생활 방학때 한문공부를 하면서 번역해 본 것입니다. 四曰誣徒 [今註] 本篇是說明敎學的方法, 본책은 교학의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在於因人施敎, 並要求師徒同體 사람이 가르침을 베푸는 것에 있으니, 아울러 스승과 제자가 한몸이 되는 것을 요구한다. 尊師所以重道, 故爲師者亦要遵道崇禮以身作則, 取得弟子的尊敬 스승을 높이는 것이 도를 중히여기는 바인바, 고로 스승이 되어서 도를 따르고, 예를 숭상함으로써 몸소 행하면 제자의 존경을 얻는다. 因爲對上尊所得的反應是對下愛護 이로 인하여 윗사람을 대하여 존중하여 얻는바의 반응 이것이 아랫사람을 대하여 사랑하고 지킴이 된다. 對下一代的愛護, 自能將所知所能的盡量傳授 아랫사람을 대하는데 한가지로 사랑하고 지키고, 스스로 능히 장.. 더보기
한문 공부를 하며. 한의대로 진학하면 피할수 없는 부분이 한문 공부입니다. 한의학이라는 학문과 의술의 역사가 오래되었기 때문에 많은 저서들이 옛날 문자인 한자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요새는 옛날 한의대만큼 한문 공부를 많이 하는 편은 아닙니다. 또 한의대 커리큘럼에서 한문공부를 하는 것을 회의적으로 생각하는 분위기도 많습니다. 시대가 변하고 과학과 의학의 발전으로 우리 조상들이 살던 시대와는 다른 현재. 한의학 역시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고 그에 발맞추어 발전해야 하기에 더이상 한문으로된 원전 해석에만 의존하는 것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사적인 견해입니다. 한의학공부를 위해서 필요 이상으로 맹목적인 한문공부는 저도 반대하는 견해를 가집니다. 위의 견해와는 별도로 저는 한문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한의대를 왔을때 한.. 더보기
14장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 효소 1 오늘은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 RTK)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4.9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 효소(RTK)) 오늘은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receptor tyrosine kinases; RTK)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RTK의 예로는 인슐린 수용체, 신경세포 생장인자 수용체, 내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등이 있습니다. ●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의 구조 RTK는 구조적으로 GPCR과 많은 면에서 다릅니다. 1. 한 개의 막관통 분절을 가진 단일 폴리펩티드로 구성된 경우가 많습니다. 2. 세포 바깥 부위에 리간드 결합부위(ligand binding domain)가 있습니다. 3. 세포질 쪽에 티로신 인산화 효소를 구성하는 부분이 있는데 이 효소는.. 더보기
14장 베타-감마 소단위체와 인산화 효소 벌써 벗꽃이 화사하게 피고 낮에는 더울 정도로 기온이 올라갔네요. 곧 있을 중간고사 때문에 압박감을 느끼는 시기가 점점 찾아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느 G단백질의 β-γ복합체에 의한 신호전달 과정과 인산화 효소및 몇가지 생장 인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4.8 (G단백질의 β-γ복합체의 활성화 작용과 인산화 효소의 개괄) ◎이전 포스팅에서는 G단백질의 α소단위체에 의해서 활성화되는 기작을 알아봤는데 이번에는 β-γ복합체에 의해서 신호전달이 되는 것을 알아보겠습니다. β-γ복합체에 의한 신호전달과정은 앞으로도 연구가 많이 되어야 할 부분인데 여기서는 두 종류의 신호전달 과정을 살펴 보겠습니다. 위의 그림에서 Gβγ 에 의한 신호전달 과정이 나옵니다. 1. 위의 그림 A에서 볼수 있듯이 Gβγ는 GPCR자.. 더보기
14장. 칼슘의 역할 이번 포스팅이에서는 리간드와 수용체가 결합해서 활성화된 G단백질에 의해서 생긴 IP3에 의해 방출되는 칼슘의 작용과 생체내에서의 기능에 대해 살펴 보겠습니다. CHAPTER14.6 (신호 전달에 있어서 칼슘의 역할) ●칼슘이온의 방출 앞에서 이야기 했던 것처럼 이노시톨 3인산(inositol-1,4,5-triphosphate; IP3)은 수용성으로 세포질에 녹아서 소포체(endolasmic reticulum; ER)에 있는 IP3 수용체인 리간드-개폐 칼슘 채널에 결합합니다. 그리고 채널이 열리면서 세포기질 안으로 칼슘이온이 많이 방출됩니다. ●칼슘이온의 활성 측정 (fura에 의해서 형광이 나타나는 모습) 칼슘이온이 분비되어 생리적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푸라-2(fura-2).. 더보기